오픈소스 기술 집중, 신기술 확보 위해 조직도 유연하게 변화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 바람은 국내 중견 SI 기업들에게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클라우드 바람이 불면서 시스템 개발과 통합‧관리(SI‧SM)에 주력하던 SI 기업들의 비즈니스 형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중견 SI 업체들은 클라우드라는 대세를 따르지 않고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절박함을 느끼고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서는가 하면 조직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이들 중견 SI업체들은 그러나 막대한 인적, 물적 자본을 등에 업고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한 대기업 SI 3사와는 달리 한정된 자원으로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기업 SI 업체와는 다른 전략을 수립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를 회사 발전의 기회로 삼고자 하는 국내 중견 SI 기업들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전략과 기술 확보 방안에 대해 알아봤다.

시스템 통합에서 서비스 통합으로

기업이나 기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사업을 진행해 온 SI 기업들은 클라우드에 무게를 두고 비즈니스에 변화를 주고 있다. SI 기업들이 ‘클라우드 전문 SI’로 변신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SI 업체 특히 중견 SI 업체들은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기업이나 기관이 늘어나고 관련 프로젝트가 쏟아져 나오면서 이제 기존 SI만으로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견 SI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술 전문성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물론 클라우드 기술 확보가 완전히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SI 기업들이 기존에 수행해온 시스템 통합과 운영, 유지, 관리 등 시스템에 대한 기술 역량에 서비스를 더하면 된다.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가 보유한 IDC에서 네트워크로 컴퓨팅 자원을 임대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쉽게 생각하면 그간 탄탄하게 쌓아온 온프레미스 인프라 구축과 시스템 운영에 대한 역량과 기술 기반을 갖추고 있는 SI 기업들에는 클라우드가 그다지 어려운 기술이 아닐 수 있다.

물론 이런 생각은 초창기 서비스형 인프라(IaaS)에 해당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그렇다는 얘기다. 최근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부터 여러 개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동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법이 다양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지속적 통합‧배포(CI‧CD) 그리고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형 플랫폼(PaaS)까지 보다 다양하고 정교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박정하 삼양데이타시스템 클라우드사업부장은 “복수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은 기본이다. 휴대폰의 경우 UI를 중요시한다면 아이폰을, 웹서핑이나 카메라 등을 중시한다면 갤럭시를 선택하는 등 각자 무엇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선호하는 제품이 다르듯 클라우드도 마찬가지”라면서, “메인 ERP는 아마존웹서비스(AWS), 협업 및 공유는 마이크로소프트(MS), 공공기관의 경우 네이버클라우드, KT 등 요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 다르다. 이러한 모든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선 클라우드 전문성을 높여야만 한다”고 설명했다.

삼성SDS, LG CNS, SK(주) C&C 등 대기업 SI 3사는 많은 인력과 자본을 투입해 이러한 최신의 신기술 및 개념, 방법론들을 비교적 손쉽게 내재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자본 등에서 열세에 있는 중견 SI 업체는 최신 기술 및 개념, 방법론들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견 SI 업체들은 대기업 SI 업체 외에도 CSP와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MSP) 그리고 설립 초기부터 클라우드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스타트업 등과도 경쟁해야 한다. 물론 이들 업체가 협력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경쟁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중견 SI들이 사업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클라우드 시장을 포기할 수도 없다. 기업이나 기관들이 클라우드를 구축하면서 MSP를 찾기도 하지만, SI 업체가 담당해야 할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사업도 많기 때문이다.

SI 업계 관계자들은 “클라우드 전문업체들은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사업의 경우 SI 업체에 비해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말한다. 이들 관계자들은 현재 국내 공공 클라우드 프로젝트부터 민간 기업들의 클라우드 프로젝트까지 중견 SI를 찾는 곳이 여전히 많은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유연한 조직문화’도 중요

“‘콘웨이의 법칙(Conway Law)’이란 소프트웨어 구조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닮는다는 뜻이다. 이 법칙은 가설을 입증할 수 없었기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거절당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업 개발팀은 이 법칙에 공감할 것이다. 클라우드도 콘웨이의 법칙이 적용된다. 유연하지 않은 기업이 유연함이 요구되는 클라우드를 구축할 경우 클라우드의 장점을 살릴 수 없게 된다. 클라우드 구축 기업과 도입 기업은 반드시 유연한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 백번 양보해 유연하지는 못하더라도 딱딱한 구조여서는 안 된다.”

이덕재 LIG시스템 공공 클라우드 사업팀장이 SI 기업들이 조직문화를 유연하게 만들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강조하며 한 말이다.

이덕재 팀장은 “과거 시스템을 구축할 때 조직을 개발팀, 운영팀, 테스트 품질팀 등으로 구분했는데 이들 팀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벽이 존재했다. 시스템을 변경하기 위해선 이 팀들이 모두 멈출 수밖에 없는 아키텍처였다”면서, “클라우드도 마찬가지다. 최초의 설계가 최선의 설계일 가능성은 없으므로, 클라우드 서비스 및 아키텍처에 대한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여기에 콘웨이 법칙을 적용한다면, 유연한 조직이 클라우드를 설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중견 SI 기업들은 조직 구조를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투 피자 팀(Two Pizza Team)’에 집중하고 있다. ‘투 피자 팀’은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팀은 피자 두 판을 먹을 수 있는 인원으로 구성돼야 한다는 의미다. 팀 구성원은 개발, 운영, 테스트 등을 각각 담당해야 하며 이들이 한 팀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 중견 SI업체는 전통적인 조직 구조와 문화를 유연하게 바꾸는 데 집중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SI 기업 퍼블릭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전담 조직인 ‘인프라 테크 랩(Infra Tech Lab)’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한강희 CJ올리브네트웍스 클라우드센터 부장은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전담으로 하는 조직은 급변하는 비즈니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LIG시스템은 SI와 SM 조직을 구분해 SM 조직은 수직적인 방식을 유지하되 SI 조직은 수평적으로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완벽하게 체계화된 틀과 프로세스를 유지해야만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에 SM 조직은 수직적으로,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등 애자일 환경이 요구되는 조직은 호칭부터 팀 구성까지 모든 것을 유연하게 만들고 있다. 이덕재 LIG시스템 공공 클라우드 팀장은 “LIG에서는 한 팀에 10명이 소속돼 있다. 고차원의 클라우드 기술인 MSA를 구현하기 위해선 이러한 조직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엔디에스(NDS, 구 농심데이타시스템) 역시 조직 유연화에 나서고 있다. 엔디에스는 본부 간의 업무 협력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활동 기반 원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타 본부 사업을 지원하는 투입인력 공수만큼 인건비 원가 배분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다. 이 제도로 인해 DBA, AA, TA, 보안 등 여유 있는 기술 전문가들을 필요한 사업에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직무 순환제도, 내부 기술교육 세미나 등 기술 역량 확보를 위한 내부 교육 커리큘럼도 마련하고 있다.

삼양데이타시스템은 기존 SI 사업을 수행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대입할 수 있도록 새로운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협업 도구나 비대면 업무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툴을 도입해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박정하 삼양데이타시스템 클라우드사업부장은 “그룹사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 일하는 사람들이 성과를 내기 위해선 어떠한 기술이던 제공하는 기업은 유연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쟁에서 밀릴 것이다. 삼양그룹은 삼양데이타시스템뿐만 아니라 전 그룹사 차원에서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있다. 실제로 협업 등의 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DS도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있다. 신한DS 측 관계자는 “클라우드는 민첩함이 요구돼야 한다. 사람도 조직도 기존 관성에서 벗어나는 데 한계가 있다.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SI도 유연해져야 하지만, 도입하는 고객도 유연해져야 한다. 신한DS는 자체적으로 조직문화를 수평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고객도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설득하거나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쌍용정보통신은 2022년 초 유연하게 조직을 개편해 지난해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쌍용정보통신은 전통적인 SI를 담당하는 공공부문과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위한 클라우드 부문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SI 사업을 위한 CNA(Cloud Native Application) 그룹과 MSP 사업을 위한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실제 MSA 기반 현대자동차 모빌리티 서비스, EBS 클라우드 전환‧구축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 전문기업들이 활용하는 협업툴 지라(Jira), 컨플루언스(Confluence)를 도입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쌍용정보통신 측 관계자는 “전통적인 SI 관리 방식을 넘어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맞게끔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함께 추구하고 있고, 더욱 유연하게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공공기관 프로젝트에 ‘촉각’

국내 중견 SI 기업들은 대부분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많은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행정안전부의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통합사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진행되는 이 사업은 행정‧공공기관 1,200곳의 정보시스템 10,009개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 통합하는 사업으로 약 8,68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기관의 홈페이지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관하는 것부터 핵심 코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관하는 작업 등 대상 시스템의 범위도 넓다.

 

이 사업은 1차연도에 430개 시스템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세 번으로 나뉘어 발주됐다. 올해 진행될 2차연도 사업으로는 2,140개 시스템이 클라우드로 전환될 예정이며 2,4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내년도에는 더 많은 시스템을 전환하며 3,0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견 SI 기업들은 대기업 3사 SI 기업이 참여하지 못하는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1차연도 3개 사업에서 쌍용정보통신이 첫 번째와 세 번째 사업을 수주하며 우수한 성적을 냈고, LG 히다찌가 그 뒤를 이었다. 엔디에스, LIG 시스템, 삼양데이타시스템 등 기업들도 올해 2차연도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중견 SI 업체들은 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는 있지만, 무작정 참여하지는 않겠다는 반응이다. 특히 인력이 부족한데다 사업자 선정 기간이 길어 들인 공에 비해 거둬들일 것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그나마 사업을 수주하면 다행인데 사업을 수주하지 못하고 헛심만 쓰는 경우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의 말을 종합하면 행정안전부 사업은 PoC를 수행하고, 주 전환 사업자가 선정되기까지 5~6개월이 걸리는 등 오랜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정보통신의 경우 1차연도 사업에 모두 참여했음에도 주 전환 사업자로 선정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한 부담은 고스란히 업체의 몫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황준용 엔디에스 클라우드사업부장은 “엔디에스는 올해 행안부 2차 연도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1차 연도 사업은 민간 클라우드 혹은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두고 의견이 명확히 모이지 않았기에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위험이 존재하는 사업에 쉽게 참여할 수는 없었다. 2차연도부터는 사업의 방향과 잡음이 완화돼 위험도는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엔디에스가 추구하는 클라우드 비즈니스, 클라우드 전환이 갖는 목적, 효과를 제대로 내기 위해 올해부터 참여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중견 SI 기업들은 대부분 향후 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견 SI 업체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IaaS 인증을 받은 국내 CSP들과 적극적으로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SI 업체와 가장 많은 협력을 체결한 CSP는 네이버클라우드다. 현재 CJ올리브네트웍스, LIG시스템, 엔디에스, 삼양데이타시스템, 신한DS, 쌍용정보통신 등 내로라 하는 중견 SI 기업들과 모두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외에도 KT, NHN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가비아, 스마일서브 등 국내 CSP와도 파트너를 맺고 있다.

중견 SI 업체체들은 파트너십 체결 외에도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의 이용지원시스템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IaaS‘나 ‘클라우드 지원 서비스’로 매니지드 서비스를 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쌍용정보통신은 3개의 IaaS, 1개의 매니지드 서비스 등 총 4건을 등록했다. 이 외에 GS네오텍, 대신정보통신, 엔디에스, 동양시스템즈, 굿어스데이터 등은 IaaS 부문에 각각 제공사로 이름을 올렸고, 삼양데이타시스템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파트너 확충 및 기술 교육으로 오픈소스 전문성 향상

최근 클라우드 분야에서 오픈소스 활용이 크게 늘고 있다. 컨테이너 관리를 위해 쿠버네티스를,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프로메테우스 등을 사용하는 등 오픈소스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클라우드 분야에서 오픈소스 활용이 증가하면서 SI 기업들이 오픈소스 역량을 갖춰야 할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오픈소스에 대한 기술력 확보는 쉬운 일이 아니다. 기능별로 오픈소스의 종류가 많은 데다, 이를 합쳐 하나의 서비스로 만든다고 하더라도 분기마다 업데이트되는 오픈소스를 다시 적용하고, 오픈소스 간의 호환성도 검증해야 한다. 중견 SI 기업들이 감당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견 SI 기업들은 오픈소스 특화 파트너 혹은 솔루션 기업과의 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먼저 CJ올리브네트웍스는 공식 파트너십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사명을 밝힐 수는 없지만, 이미 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강희 CJ올리브네트웍스 클라우드센터 부장은 “향후 클라우드 SI 사업 규모를 확장하기 위해 SW 개발사와의 전략적인 협력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IG시스템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오픈소스가 집약된 PaaS 솔루션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고민하고 있다. 이덕재 LIG시스템 공공 클라우드 사업팀장에 따르면, 현재 맨텍의 ‘아코디언’을 활용해 공공 분야 시범사업을 수행했는데 파트너십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LIG시스템은 그러나 신기술에 대한 집중 투자는 신중을 기한다는 전략이다.

이덕재 팀장은 “LIG시스템은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보다 기술 흐름과 추세를 적절히 관찰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정도”라면서, “클라우드 비즈니스는 긴 호흡을 가져가야 한다. 그렇기에 신기술이 시장에 등장한다고 그 신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보다 고객의 수요가 나올 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방식의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디에스는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사항과 솔루션을 확보하기 위해 솔루션 제공사와의 파트너십을 추진하고 있다. AWS, 네이버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등 CSP를 비롯해, 데이터독, 와탭, 젠데스크 등 모니터링 기업과도 협업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분석에 집중하기 위해 스노우플레이크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보안 관제를 위해 트렌드마이크로, 펜타시큐리티, 에스원 등과도 협업하고 있다.

엔디에스는 오픈소스 기술 역량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황준용 엔디에스 클라우드 사업부장은 “데브옵스나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프로젝트 등 오픈소스가 투입되는 사업은 직접 도맡아 수행하고 있다. 엔디에스 소속의 솔루션 아키텍트, 애플리케이션 아키텍트들을 상대로 오픈소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실제로 일부 금융 프로젝트를 위해 오픈소스인 도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직접 개발하고 있다. 파트너십을 통한 벤더들과의 기술도 교류하지만, 내부 인력이 오픈소스 역량을 확보하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양데이타시스템은 컨테이너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오픈소스 전문기업과 협업하고 있다. 레드햇과는 ‘오픈시프트’를, OSC코리아와는 ‘렌처’를 협력하고 있다. 박정하 삼양데이타시스템 클라우드사업부장은 “나무기술의 ‘칵테일 클라우드’를 도입해서 사용해봤는데, 내부적으로 반응이 좋았다. 이에 나무기술과 같이 일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신한DS는 AWS, 애저, GCP와 같은 CSP와의 협업에 집중하고 있다. CSP와 파트너십을 맺어 고객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상에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솔루션 벤더와 협력하고 있다. 티맥스와 미들웨어, DBMS, 클라우드 플랫폼 등 PaaS 부문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쌍용정보통신은 아이티센 그룹사 차원에서의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에 방점을 찍고 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컨설팅, PaaS,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분야는 크로센트, CMP‧클라우드 운영관리 아이앤소프트, 금융 클라우드를 위해 제노솔루션, MSP 베스핀글로벌과 파트너십을 맺고 협업하고 있다. 레드햇코리아, 와탭랩스(APM), ISA테크(클라우드 전환‧DR) 등과도 협업하고 있다.

 

대표적인 중견 SI 기업 6개사의 클라우드 전략과 현황

 

“CSP 장점 취합해 멀티 클라우드 제공”

삼양데이타시스템은 2016년에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뛰어들었다. 제조업이라는 삼양그룹 특성상 초기에는 제조 분야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진행했다. 이후 제조 기반의 클라우드 전환 및 구축, 관리 역량을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하기 시작했고, 현재 미디어, 상거래, 게임 분야 등으로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확대했다.

박정하 삼양데이타시스템 클라우드사업부장은 “삼양데이타시스템은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존 온프레미스에서 가동 중이던 서비스 및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전환한 경험이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부터 엔터프라이즈, 공공기관까지 다양한 고객들에게 효율적으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양데이타시스템은 향후 멀티 클라우드에 집중할 계획이다. CSP 별로 장점은 모으고, 단점은 상쇄시켜 멀티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겠다는 클라우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AWS의 인프라, MS의 협업툴, 오라클의 HR 등 고객의 요구에 맞게 각 벤더가 갖는 장점을 취합해 멀티 클라우드 형태로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위해 삼양데이타시스템은 2가지에 집중하고 있다. CSP와의 클라우드 협력 체계를 확대하는 것과 기술 인력에 대한 투자다.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AWS와 같은 CSP와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협력체계와 관련, 삼양데이타시스템은 클라우드 비즈니스 초기에는 AWS와 IBM클라우드 그리고 NHN클라우드에 집중했으나 현재는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장, 네이버클라우드, MS, 알리바바 클라우드 등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삼양데이타시스템은 사업 초기에는 기존 인프라를 관리하던 인력을 클라우드 전문인력으로 전환하며, 기술 교육을 시작했다. 현재 가상화, AWS, 네이버클라우드 등 CSP 기술, CSP 벤더별 장단점, 가격 비교, 이슈 등에 대한 집중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CSP에서 발급하는 자격증 획득에도 주력하고 있다.

멀티 클라우드에 집중하고 있는 삼양데이타시스템은 올해 공공 분야 공략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박정하 부장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이용지원시스템 ‘멀티 클라우드 부문 MSP’로 등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에 네이버클라우드를 구축했던 경험을 토대로 올해 행정안전부의 클라우드 전환‧통합 사업에 적극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공공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튼튼하고 유연한 아키텍처 설계 기반의 인프라 구축‧운영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면서, “24‧7‧365 모니터링을 통해 장애 대비에도 힘쓰고 있다. 클라우드 상에 구축된 인프라 사용량을 상시 모니터링 해 비용 대비 최대 효율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토대 위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가치 전달”

신한DS는 신한금융그룹의 전산실에서 분사된 IT 전문기업이다. 이런 이유로 금융권을 겨냥한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집중하고 있다. 신한DS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토대로 퍼블릭 클라우드로 확장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전념하고 있다.

신한DS는 데이터 보안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는 금융사 요청에 대응하면서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수행했다. 자연스레 축적된 프라이빗 클라우드 역량을 토대로, 금융사에서 도입하기 시작한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방향성을 잡게 됐다.

 

신한DS는 앞으로도 금융권을 겨냥한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집중할 계획이다. 신한DS 관계자에 따르면, 변화된 IT 환경 속에서 고객은 기존에 받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서비스 추가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금융사의 안정적인 IT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라는 얘기다.

신한DS 측 관계자는 “현재 금융권이 클라우드 도입 초기라서 여전히 금융권에서 요구하는 클라우드 환경을 준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들 고객 대부분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신한DS는 이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금융 고객들이 중요시하는 클라우드 보안 환경 그리고 그에 맞는 물리적 운영 환경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서비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 구축에 전사적인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DS는 궁극적으로 특정 CSP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기 위한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지향하고 있다. 가령 GCP의 분석 도구, 애저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호환성, AWS의 범용성 등 CSP 장점들을 묶어 제공한다는 것이다. 신한DS는 현재 IT 업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인력문제로 우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초점을 맞추고, 이후 인력이나 비즈니스 상황이 개선되면 멀티 클라우드로 무게 추를 옮긴다는 계획이다.

신한DS 측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이 인력 문제다. 하나의 CSP를 충분히 활용하는 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면서,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우선 집중하고 있는 CSP에서 어느 정도 성과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새로운 CSP와의 협력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SI, MSP, SaaS 모두 갖춘 클라우드 전문 SI 되겠다”

쌍용정보통신은 40년간 시스템 통합, 운영 비즈니스를 해온 SI 기업이다. 회사는 클라우드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지난해 초 ‘넘버원(NO.1) 클라우드 네이티브 회사’라는 비전을 선포하며, 전통적인 SI 사업자에서 클라우드 IT서비스 사업자로의 변신에 나섰다.

쌍용정보통신은 클라우드 컨설팅, 전환‧구축,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통합 서비스 등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3가지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기술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먼저 쌍용정보통신은 기존 SI 사업을 하면서 쌓아온 온프레미스 기술 역량을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녹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이와 연동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도록 CSP 6개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현재 쌍용정보통신은 AWS, 네이버클라우드, KT, NHN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가비아 등 6개 CSP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CSP와 협력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역량을 쌓아온 쌍용정보통신은 최근 SaaS 부문 비즈니스를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력 확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쌍용정보통신 관계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MSA 등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개발 역량,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등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설계‧구축 역량도 갖춰야 한다. 또 여기에 더해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체계적인 애자일 사업관리 역량도 있어야 한다. 운영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IT 운영 방식을 넘어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SRE 역량도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쌍용정보통신은 지난 2019년 MSA, 컨테이너, 쿠버네티스를 활용해 SaaS 국제경기정보시스템인 ‘RACE-V’를 개발한 바 있다. 이를 인정받아 지난해에는 AWS에 ‘RACE-V’를 올려 도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운영했으며, 올해에는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RACE-V’를 활용해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수행할 예정”이라며 SaaS 성과를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쌍용정보통신은 40년 간 영위해왔던 SI 사업에 클라우드라는 색을 입히기 시작했다. 클라우드 SI, MSP, SaaS 이 3가지 영역을 고루 갖춘 SI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분야 집중 공략”

CJ올리브네트웍스는 식품 제조 및 유통, 외식, 물류 서비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CJ 그룹의 IT 자회사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유통과 제조, 물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무게를 두고 IT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올해부터 기존 유통, 제조 산업군에 이어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군에서의 클라우드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많은 산업군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의 클라우드 구축이 타 산업군에 비해 많았고, 축적해온 노하우를 토대로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고도화한다는 전략인 것으로 풀이된다.

클라우드 비즈니스 고도화를 위해 CJ올리브네트웍스는 관리 서비스 제공 역량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외 CSP인 AWS, MS, 구글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국내 CSP인 네이버클라우드와도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데이터독 등 서비스 기업과도 파트너십 체결하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유연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CJ올리브네트웍스는 미러링, 자동화, 모니터링 관련 기술과 MSA 기반의 컨테이너, 서버리스, 에지 컴퓨팅, 오픈소스 등에 대한 기술을 확보를 위해 내부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한강희 CJ올리브네트웍스 클라우드센터 부장은 “CJ올리브네트웍스의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는 클라우드 매니지드, 보안 매니지드, DB 매니지드 등 3가지로 분류된다”며, “클라우드 매니지드는 CSP 관리 콘솔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정을 포함해, 계정 관리, CI‧CD 환경, OS 매니지드까지 개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안 매니지드는 보안 관제, 침해대응, 취약점 진단 등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DB 매니지드는 DB 운영 및 DB 최적화를 포함해 데이터 파이프라인 운영 등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제공 중인 서비스를 소개했다.

이어 그는 “다수의 SI 기업들이 고려하고 있는 클라우드 전략은 멀티 클라우드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역시 멀티 클라우드의 장점을 고객이 제대로 누릴 수 있도록 글로벌 사업자들과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장점을 적절하고, 조화롭게 선택해 아키텍처를 설계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n‧자비스’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할 것”

1993년에 설립된 엔디에스(구 농심데이타시스템)는 농심 그룹사의 IT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며 비즈니스를 해왔다. 클라우드가 국내 상륙하기 시작한 2015년에 AWS와 파트너사 계약을 맺으며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현재 스타트업부터 엔터프라이즈, 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에게 클라우드 컨설팅, 구축 및 이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엔디에스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전략은 고객에 맞춰졌다. 클라우드 사용 방법에 따라 한 가지에 비즈니스를 집중하는 것이 아닌, 고객 IT 환경을 중심으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클라우드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지정하는 것이 아닌 그저 고객의 IT 환경을 조사하고, 인터뷰를 통해 적합한 클라우드를 찾고 어떠한 클라우드던 제공한다는 얘기다.

엔디에스는 그룹사에 온프레미스 기반 IT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던 노하우를 토대로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그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황준용 엔디에스 클라우드사업부장은 “클라우드 사업 첫 시작을 AWS로 진행한 만큼 고객이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마주하는 문제점을 잘 알고 있다.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이나 운영 프로세스 간소화 등에 대한 수요가 많았다”면서, “이에 엔디에스는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n‧자비스(Xavis)’라는 솔루션 개발,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고객을 중심으로, 고객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디에스는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n‧자비스’는 서비스 사용현황 및 관리, 비용 최적화 및 상세 분석 보고서 제공, 서비스 최적화 및 비용 알람 제공, 클라우드 비용 및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아울러 고객의 클라우드 관리에 필요한 자원, 금액 등 시각화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 엔디에스는 클라우드 사용량 기반 패턴분석과 비용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전문관리 운영 서비스에는 24x7x365 모니터링, 통합 보안관제, 데브옵스 등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 지원 등의 기능이 포함돼 있다.

 

한편, 엔디에스는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조직개편을 준비중이다. 현재 클라우드사업부에는 솔루션 아키텍트(SA), 데이터베이스 아키텍트(DBA), 테크니컬 아키텍트(TA), 애플리케이션 아키텍트(AA),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데브옵스 개발자, 보안관제 등의 인력이 포진돼있는데, 이를 ‘클라우드 이노베이션 센터’로 일원화 할 예정이다.

황준용 부장은 “엔디에스의 기술 분야 직원들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CSP 자격증이다. 현재 AWS 서티파이드 자격을 보유한 인력이 100명이 넘는다”면서, “사실 일부 SI 기업들은 한 번씩 대외사업을 축소했거나 다시 시작하는 회사다. 대외 SI는 거의 하지 않고 그룹사 물량에만 집중하는 업체도 있다. 이들 SI 기업들과는 달리 엔디에스는 기존 대외 SI 사업에 대한 보유 역량이나 기술, 사업 노하우 등 부분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고객 특성에 맞는 클라우드 전략 펼친다…공공 시장 집중”

LIG시스템은 방산기업 LIG넥스원과 보험사 LIG손해보험의 IT 시스템을 운영하던 기업이다. 2015년 KB금융지주에 LIG손해보험을 매각하면서 현재 LIG시스템은 LIG넥스원의 IT 시스템을 운영, 유지보수하고 있고 공공, 국방, 민간 클라우드 프로젝트 등 대외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LIG시스템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겨냥해서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공공을 제외한 다른 사업군을 겨냥해서는 ‘올인 클라우드’를 내세우고 있다. 이 같은 방향에 대해 이덕재 LIG시스템 공공 클라우드 사업팀장은 “향후 많은 공공기관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는 중요 시스템과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운영되는 비중요 시스템을 하이브리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을 것”이라면서,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클라우드 통합, 전환 사업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LIG시스템은 네이버클라우드와 KT, NHN 등 국내 3대 CSP와 모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한 공공 시장을 기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솔리드이엔지, 에스피테크놀로지 등과 협업 체계도 구축했다. 아울러 LIG시스템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제외한 타 산업군은 퍼블릭 클라우드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LIG시스템은 타 SI 기업들과의 기술 차별화를 위해 ‘컨테이너’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덕재 팀장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중요성은 모든 SI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LIG시스템은 다른 업체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컨테이너, 쿠버네티스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하기 위해선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MSA로 잘게 나눠야 한다. 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선 컨테이너와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재 LIG시스템은 맨텍과 협업하고 있다. 두 회사는 몇몇 공공기관 시범사업을 수행하며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LIG시스템은 올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활용도 염두에 두고 있다. 지난해 행정안전부의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통합‧전환’ 1차연도 세 번째 사업에서 중견 SI 기업들 가운데, 4위를 차지하며, 가능성을 엿봤다. 2차연도 사업은 1차연도 사업보다 예산이 8배 많다. LIG시스템은 이 사업 수주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Facebook Comments

LEAVE A REPLY

Specify Facebook App ID and Secret in the Super Socializer > Social Login section in the admin panel for Facebook Login to work

Specify Google Client ID and Secret in the Super Socializer > Social Login section in the admin panel for Google Login to work